top of page

a room of one's own, 2018

5min, Experiment Film, VR Glasses, projection, sound

a room of one’s own begann mit einem Motiv aus dem gleichnamigen Essay der britischen Schriftstellerin Virginia Woolf. In diesem Essay von 1929 schrieb sie: “Eine Frau muss Geld und ein eigenes Zimmer haben, wenn sie Romane schreiben will”. Weiterhin beschreibt sie den Raum, der für das Schaffen einer Künstlerin benötigt wird.

In a room of one’s own werden die persönlichen Räume in denen ein Individuum existiert, durch einen experimentellen Film ausgedrückt. Die Räume sind ein Zimmer, ein Strand, ein Wald, eine Stadt und ein virtueller Raum. In allen Räumen existiert die Künstlerin und ihre Doppelgänger. Dem Betrachter wird durch das Tragen der VR-Brille die Möglichkeit gegeben sich unmittelbar in die genannten Räume hineinzubegeben.

A room of one's own is based on the eponymous essay by a British writer, Virginia Woolf. In her essay of 1929, she wrote: "A woman must have money and a private room if she wants to write novels." According to her, a space is a essential for an artist to do their work.

In a room of one's own, personal spaces in which an individual exists are expressed through an experimental film. The spaces can be a room, a beach, a forest, a city and a virtual space. The artist and her doppelgangers exist in all rooms. An audience is given VR glasses and invited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aforementioned spaces.

<자기만의 방>(2018)은 영국작가 버지니아 울프(VirginiaWoolf)의 에세이를 기반으로 한다. 1929년 그는 "여자가 소설을쓰려면 돈과 자기만의 방이 있어야 한다"고 썼다. 여성과 픽션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으로 부터 출발한 이 책은 본래 여성의 자유와 권리를 주장하고 수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였다. 작가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한 여성 예술가로서 이를 오늘날의 관점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보는 한편, 여전히 예술가에게 좀처럼 잘 허락되지 않는 ‘자기만의 방’의 의미를 작품을 통해 고찰한다. 작가의 예술적 사유는 그의 방과 밀착되어 형성되고 확장된다. <자기만의 방>은 물리적인 공간으로서의 방은 물론 작가가 한 개인으로 존재할 수 있는, 그래서 자신의 내면을 오롯이 응시할 수 있는 사유의 공간으로서의 방을 그린다. 작품은 개인이 존재하는 사적인 공간을 실험 영상(VR)으로 형상화한다. 공간은 방, 해변, 숲, 도시 및 가상 공간으로 변화하며, 작가와 그의 도플갱어들은 모든 공간에 존재한다. 이는 시대의 폐쇄적인 분위기를 벗어나 작가가 유연하게 사고 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메타포다. 관객에게는 VR안경이 제공되며 위에서 언급한 공간에 초대되어 마치 작가의 뇌 속을 엿보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된다. 과거 누군가가 분투해 왔던 물질적 조건들이 후세대에 와서까지 마치 ‘작가의 상징’처럼 작용하는 현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동시에, 작가는 이 문제가 그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온전한 자신이 되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것 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글 임현영 독립 큐레이터)

bottom of page